소방청, 봄철 산악사고 대비 산악사고 안전 종합대책 추진 > 사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

소방청, 봄철 산악사고 대비 산악사고 안전 종합대책 추진

질병‧질환 보다 사고부상, 조난‧수색 등 안전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소방청 작성일 25-03-31 15:00

본문

소방청
[(주)울산아트신문]소방청은 등산객의 안전사고 예방과 사고 시 신속한 구조대응을 위해 4월부터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작년 한해동안 전국 119구조대가 출동한 산악사고 구조건수는 10,134건으로 전년(10,807건)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최근 5년간 월별 구조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산악사고는 봄철인 4월부터 증가하여 가을철(9~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악사고의 유형별 구조건수를 살펴보면, 주요원인은 실족이 2,724건(26.9%)으로 가장 많았고, 길잃음 2,378건(23.5%), 탈진탈수 522건(5.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환이나 평소 앓고 있는 질병 등 개인의 건강상태 보다 사고 부상, 조난‧수색 등 안전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요일별‧시간대 별로 분석한 결과, 산악사고의 절반 이상(54.1%)이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중됐으며, 낮 시간대(오전 11시~오후 4시)에 인명피해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방청은 국민들의 안전한 산행을 돕기 위해 △산악안전지킴이 운영 △주요 등산로 안전시설물 점검 및 정비 △산악위치표지판 보완 등 산악사고 안전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산악사고 및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국 주요 등산로를 중심으로 최근 3년간 산악사고 다발지역을 발굴하여 산악안전지킴이를 운영한다.

산악안전지킴이는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 민간자원봉사자 중심의 전문인력을 모집하여 구성하며, 등산객 안전산행 홍보활동 및 유동순찰 등을 통해 사고 발생시 신속한 구조 및 구호활동을 전개한다.

또한, 전국 주요 등산로에 설치된 12,344개의 안전시설물(산악위치표지판 11,091개, 간이구조구급함 1,253개)을 점검‧정비하는 한편, 절벽 등 산악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을 대상으로 관할 지자체와 협업하여 안전시설물을 보강한다.

마지막으로 주요 등산로에 확대 설치 중인 국가지점번호와 관련하여, 기존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 중 국가지점번호와 중복되거나 이중으로 표기된 장소를 파악하여 지자체, 국립공원공단 등 관리주체와 협의를 통해 보완‧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산을 찾을 때는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코스를 선택하고 정해진 등산로만 이용하는 등 산행 안전수칙을 준수해 달라”며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을 위해 적극행정 업무 수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텔레그램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사이트 정보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