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싹' 이어 제주문화 세계화 속도 낸다 > 문화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문화

'폭싹' 이어 제주문화 세계화 속도 낸다

제2기 문화협력위원회 제1차 회의 개최…예술인 개인지원 강화, 제주어·역사문화 가치 세계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제주도 작성일 25-04-28 20:00

본문

'폭싹' 이어 제주문화 세계화 속도 낸다
[(주)울산아트신문]제주특별자치도가 예술인 복지체계 강화와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통해 제주 문화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제주도는 28일 도청 탐라홀에서 ‘제2기 문화협력위원회 2025년 제1차 회의’를 열고 문화예술 정책방향을 공유하는 한편, 제주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회의에는 문화협력위원회 당연직 위원인 오영훈 지사, 김석윤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 강민부 제주콘텐츠진흥원장과 위촉직 위원인 양영길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문화협력위원 30여 명이 참석했다.

오영훈 지사는 “문화는 도민 삶의 품격을 결정짓는 핵심 가치”라며 “최근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제주어로 전 세계적 관심을 끌며 제주의 문화적 자원과 가치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는 모든 공식 행사에서 문화예술 공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앞으로 문화예술 활동이 더욱 자연스럽게 이뤄지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아세안 플러스 알파 정책의 일환으로 하이난성과의 교류 30주년 기념공연을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문화예술 교류를 더욱 확대해 제주 문화예술의 세계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양영길 공동위원장은 “문화예술로 도민 모두가 공감하고 협력하는 힘이 곧 행복 제주를 만들 수 있다”며 “올해는 을사늑약 120년, 광복 80주년이 되는 해로, 문화예술을 통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위원들은 제주 문화예술의 발전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위원들은 제주아트플랫폼 운영 현황과 향후 계획, 문학 예술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로케이션 지원 전략과 영화·드라마 세트장 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문화예술 활동 공간과 관련해서는 예술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다양화, 도민들의 문화예술 공간 접근성 개선, 시각예술 외 다양한 장르의 창작스튜디오 필요성 등이 제기됐다.

아울러 문화원탁회의를 통한 문화헌장 선언과 후속 과제의 효율적 추진 방안도 논의됐다.

제주도는 올해 제주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세계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추진한다.

주프랑스한국문화원에 제주관을 개설(5~9월)해 제주어와 제주문화를 알리고, 삼성혈-신산공원 일대를 생태역사문화공원 조성하며, 제주어 웹사전을 제작하는 등 제주의 역사문화 가치를 체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예술인 복지지원체계를 기존 단체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전환한다.

예술인 창작준비금을 확대하고 창작공간 임차료와 도외 교통비 등 개인 맞춤형 지원을 신설한다.

특히 예술인복지기금은 지난해 57억원이 적립된 데 이어 올해 17억5,000만 원을 추가 적립해 2026년까지 100억원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6월 제주 AI 국제 필름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청년 150여명을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기업 일자리 빌드업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동부지역 대규모 스튜디오 조성과 로케이션 원스톱 지원 전담팀(TF) 운영으로 제주를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의 허브로 육성한다.

제주도는 문화정책 결정과 수립 과정에서 도민들의 실질적인 참여 확대를 위해 120여 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문화자치 원탁회의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텔레그램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사이트 정보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