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 떠나보는 영양군 죽파리 자작나무숲 > 라이프/여행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4.29 (화)
  • 로그인
(주)울산아트신문

라이프/여행

 

이번 주말, 떠나보는 영양군 죽파리 자작나무숲

영양군, 눈 그리고 자작나무

페이지 정보

  작성자 편집부 작성일 25-03-06 13:00

본문

자작나무숲
[(주)울산아트신문]봄비가 채 가시기도 전에 3월의 눈은 영양군 죽파리 일대를 새하얗게 덮어버렸다.

다른 지역보다 더 오랜 시간을 겨울로 맞이하는 영양군 죽파리 자작나무숲은 도심보다 낮은 기온으로 독립된 공간인 마냥 겨울왕국을 만들어낸다.

올겨울은 유난히도 길게 느껴진다.

3월 초에 내린 눈은 앙상하게 남은 자작나무 가지에 눈꽃을 피워냈다.

많은 눈 때문에 운용이 불가한 자작나무숲 전기차 탑승소 앞에서 멀뚱히 바라본 맑은 하늘과 공기에 천천히 자작나무 숲으로 이끌려 들어간다.

숲 입구까지 걸어가는 동안 침엽수 위로 쌓인 눈이 모퉁이마다 무겁게 떨어지며, 길 안내를 시작한다.

흔적 하나 없이 말끔한 눈길 위로 발자국을 하나 둘 새겨 가다 보면 어느새 자작나무 숲 입구에 도착한다.

4.7km라는 거리는 눈으로 보는 풍경과 얼어붙은 표면을 깨고 흐르는 계곡 소리에 가벼운 여정으로 느껴진다.

입구에서 맞이하는 자작나무숲의 1993년도에 약 30ha의 면적에 심어진 30cm짜리 나무들이 30년 가까이 자연 그대로 자라나 현재의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간 사람의 손때가 전혀 묻지 않아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데 이제라도 알게 된 것을 다행으로 여긴다.

숲으로 들어서면 높게 솟아있는 나무들은 하얗게 시야를 메운다.

축구장 40개의 크기만큼이나 넓은 이 숲길은 2개의 코스로 나눠지며, 그 코스마다 전해지는 풍경 또한 다르다.

1.49km의 1코스와 1.52km의 2코스는 설산이 처음인 초보에는 안성맞춤이며, 설경을 즐기는 사람에게는 여태껏 경험하지 못한 즐거움을 안겨줄지도 모른다.

새하얀 눈길에 매료되어 고개를 떨구고 걸으면 후회가 될 정도로, 맑은 하늘과 어우러져 이색적인 숲속의 경치는 간직하고 싶은 소장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어느샌가 나도 모르게 셔터를 누르고 있다.

또한,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포토존은 자작나무숲에서 한 폭에 그림을 남기기에 적당한 프레임을 만들어준다.

전망대로 올라가면 고도 800m를 훌쩍 넘기는 높이에서 자작나무숲 일대를 조감할 수 있다.

빼곡하게 수놓은 나무에 하얀 수피들 사이로 대지를 덮은 하얀 눈으로 형성된 순백의 도화지 앞, 바로 이 순간만큼은 내가 이 공간의 주인공이 된다.

영양 죽파리의 눈은 아직 녹지 않았다.

이번 주 주말까지도 자작나무에 눈이 소복하게 내려앉아 있을지도 모른다.

자작나무의 꽃말인 ‘당신을 기다립니다.

’처럼 죽파리 자작나무숲은 높은 하늘과 맑은 공기를 품고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출처: 경상북도 영양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텔레그램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정치



10

10

5

8

9

7

5

6

9

6

11

9
04-29 01:23 (화) 발표

ss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상호] (주)울산아트신문 [발행소] 울산 중구 학산동 18-15, 201호 [사무실] 울산 중구 번영로 609, 1층
[대표전화] 010-4152-3939 [대표 E메일] egg@ulsanartfocus.com [등록번호] 울산,아 01148 [등록일] 2025년 01월 03일
[발행인] 박준섭 [편집인] 박준섭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준섭 [제호] 울산아트포커스
Copyright ⓒ 2025 Ulsanartfocus.com All rights reserved.
.